본문 바로가기
영화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영화 (Memento Mori 1999)

by Read.See 2024. 10. 29.
728x90
SMALL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영화 (Memento Mori 1999) / 출처 : 네이버 영화 포스터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지각을 하는 바람에 학교 담을 넘어 등교한 민아(김민선)는 수돗가에서 우연히 붉은 색 표지의 일기장을 줍는다. 같은 반 친구인 시은(이영진)과 일 년전에 있었던 기묘한 행동으로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받고 있는 효신(박예진)의 교환일기. 영화는 민아가 숨어서 읽는 일기의 내용과 현재의 시은과 효신의 이야기가 교차되면서 전체적인 윤곽이 잡혀가게 된다. 육상부로 늘 교실 뒷자리에 조용히 앉아있는 시은. 그녀에게 외톨이 효신은 유일한 친구이다. 중성적인 외모의 시은과 나이보다 성숙해 보이는 효신이 함께 어울리면서 아이들 사이에선 친구 이상의 관계라는 소문이 퍼지게 된다. 우연히 일기를 읽게 된 민아는 소문과 일기속 진실 사이에서 혼란스러워하다가 결국 이 둘을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둘의 관계는 교환일기를 먼저 제안했던 효신이 시은에게 지나친 집착을 보이면서 갈등을 빚게 되고, 효신이 학교에서 자살을 함으로써 학교 전체가 혼란에 빠지게 된다. 효신의 자살로 충격을 받은 아이들은 극단적인 냉소를 보이거나 갑작스런 동정심에 빠지는 쪽으로 양분되고, 민아는 혼자만 갖고 있어야 할 비밀들 때문에 괴로워한다. 한편, 효신의 자살 직전에 함께 있었던 시은은 의심을 받고 민아는 시은을 도우려 하지만 시은은 쉽게 마음을 열지 않는다.
평점
8.5 (1999.12.24 개봉)
감독
김태용, 민규동
출연
김규리, 박예진, 이영진, 공효진, 김재인, 백종학, 맹봉학, 이현순, 정진각, 강은영, 오민애, 한승연, 채윤서, 한민, 김동화, 김서연, 강에스더, 구혜주, 전기광, 김산희, 김종국, 나미경, 나진수, 최준식, 신혜정

영화 소개: 독특한 공포와 서정성의 결합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Memento Mori, 1999)*는 1998년 첫 작품 여고괴담의 성공에 힘입어 제작된 속편으로, 여고생들의 삶과 그 속에서 벌어지는 미스터리한 사건들을 다룬 한국 공포 영화입니다. 그러나 단순한 공포를 넘어서 청소년들의 불안, 억압된 감정, 그리고 금기된 사랑이라는 주제를 섬세하게 풀어내어 감성적이면서도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 영화는 여고괴담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서정적이고 심리적인 면을 강조한 작품으로, 공포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여고생들의 복잡한 감정 세계

영화는 여고생 민아(김민선)와 효신(박예진), 그리고 시은(이영진) 사이의 복잡한 감정 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효신와 시은의 관계는 영화에서 중요한 축을 이루며, 단순한 우정 이상의 애정이 묘사됩니다. 당시 사회적으로 금기시되었던 동성애를 소재로 하여, 억압된 감정과 그것이 주는 고통을 섬세하게 다룹니다. 이러한 감정의 혼란과 갈등은 영화 전반에 걸쳐 긴장감을 높이며, 여고생들만의 독특한 심리적 압박감이 공포 요소와 맞물려 더욱 깊이 있는 드라마를 만들어냅니다.

미스터리와 초자연적 요소의 융합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는 단순한 심리적 갈등을 넘어서, 초자연적인 요소가 가미된 미스터리로 전개됩니다. 주인공들은 학교에서 벌어진 끔찍한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면서 신지의 죽음에 얽힌 미스터리를 추적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유령이 등장하고, 그로 인해 학교 내의 분위기는 점차 어두워집니다. 영화는 현실적이고 일상적인 공간인 학교를 배경으로, 비현실적이고 불길한 사건들이 펼쳐지면서 긴장감과 공포를 극대화합니다. 이러한 미스터리와 초자연적 요소의 결합은 영화의 공포를 한층 더 깊이 있게 만듭니다.

감각적인 연출과 시각적 표현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는 공포 영화답게 긴장감을 조성하는 시각적 연출이 돋보입니다. 영화 속 장면들은 어두운 색조와 차가운 분위기를 강조하며, 학교라는 제한된 공간 속에서의 답답함과 공포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특히 효신의 죽음을 둘러싼 장면들에서 보이는 감각적인 연출은 관객들에게 공포뿐만 아니라 비극적인 감정을 함께 불러일으킵니다. 이러한 시각적 표현은 공포와 감정적 깊이를 동시에 전달하는 중요한 장치로 작용하며, 영화의 몰입도를 높입니다.

금기와 죽음에 대한 성찰

이 영화는 단순한 공포 영화가 아니라, 죽음과 금기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효신의 죽음과 그녀와 민아 사이의 관계는 단순한 사고로 치부되지 않으며, 억압된 감정과 사회적 금기가 이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줍니다. 영화는 청소년들이 겪는 내면의 갈등과 억압된 감정이 어떻게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으며, 죽음에 대한 성찰과 기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는 단순히 공포를 넘어서, 인간 내면의 어두운 감정들을 탐구한 깊이 있는 작품입니다.

728x90
LIST